본문 바로가기
ENGLISH STUDY

#4. Travel sickness, motion sickness

by 김씨아내신씨 2023. 10. 25.

요즘 EBS 영어회화 Power English를 듣고 있다.

항상 재밌는 표현이 많고, 두 사람의 티키타카를 듣는 재미가 있지만, 듣기만해서는 나의 영어를 늘릴 수가 없으니 재밌었던 표현은 블로그에 적용해보기로 한다. 

오늘의 주제는 travel sickness로 외국에 나갔다가 장에 문제가 생긴 A에 대한 이야기였다.

Travel sickness

motion sickness라고도 하고, 좀 더 좁은 의미로 쓰이는 듯 하다. 멀미를 뜻한다.

motion sickness에는 2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1번째 의미가 travel sickness로 it can happen on land, on the sea, in the air or in space. 

눈에서 온 정보와 귀를 통해 들은 정보, 몸(장)의 위치정보가 달라 뇌에서 혼동을 일으켜서 발생한다. 

특히 eyes로 부터의 정보와 vestibular system(전정기관) and proprioceptive system(고유 수용 기관)에서의 정보가 맞지 않아서 느끼게 된다.

그래서 보통 차멀미는 운전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뒷자리의 경우 앞창을 못보기때문에 좀 더 심한 멀미를 느끼게 된다. 

2번째는 reverse motion sickness 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motion sickness와는 좀 반대되서 붙여진 이름이다.

앞에서와 반대로 eyes가 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microfilm machine, wide-screen, video game 같은 것을 할 때  nausea(메스꺼움)이나 vomiting(구토)가 발생하는 이유이다.

 


조금 벗어났는데 다시 이야기로 돌아와서 

travel sickness로 인해 호텔에서 체크아웃해서 비행기를 타야하는 두사람의 이야기이다.

여기에서는 travel sickness가 멀미보다는 여행하면서 생기는 sickness에 대한 이야기 같은데 좀 더 traveler's diarrhea에 가까운 듯하다.

줄거리

A : Our ride to the airport is here. I'll try to stall him for few minutes.

B : Don't worry. I'm feeling a lot better. I won't take too long.

A : The flight to Ibiza is only a hour. So It shouldn't be too bad if your stomach starts acting up on the plain.

B : Thak's a good news. I'll take another pill as preventative measure. 

A : Okay. I'm leaving. Just drop off the room key at the front desk.

B : I'll hurry. I think the worst of it is behind me. No pun intended

 

Phrase to remember

stall : It means delay something. delay랑 비슷한 느낌이지만 "내"가 뭔가를 미룬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

종종 약속에 늦는 나는 stall 을 많이 한다. ㅎㅎㅎ 예전에는 그냥 늦었다면 나이가 들면서 기다리는 사람의 입장을 좀 더 생각하게 되기도 했고, 경기도에 살면서 서울에 가게될 때는 1시간 전부터 이미 직감할 수 있기 때문에 stall을 하려고 노력을 했었다. It's Korean time, you know? 😁😁 다행히 내 친구들도 코리안 타임 꼭 가지는 친구들이라 보통 시간이 맞긴했다. Love you~

feeling a lot better : 그냥 better 보다는 a lot을 붙여서 주로 말하는 편으로, 미국인들의 배려심이 보인다.

상대방이 덜 걱정하게 정확하게 훨씬 나아 라고 말하나 보다.

act up : "말을 안듣다"의 뜻으로, 사람에게도 쓸 수 있고, 기계나 몸에도 쓰인다.

한국어랑 비슷한 것 같은데, 아이가 말을 안듣다 도 있고, 몸이 말을 안듣는다. TV가 말을 안듣는다. 똑같은 의미이다.

여기에서 your stomach starts acting up 이니 너의 위가 갑자기 말을 안듣고 다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라는 의미다.

somthing is behind me : it's in the past. 여기서의 behind 는 이미 지나갔다는 뉘앙스다. 

가장 위험한 순간은 in the past였다. 로 지금은 걱정할 필요 없다는 뜻. behind는 가끔 butt으로도 쓰인다고 크리스틴 선생님이 말씀하시는데, 이게 바로 다음 phrase으로 연결된다.

No pun intended : 우리말로는 "그 뜻은 아니었는데!" "언어 유희하지마"

앞과 같이 두가지의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를 사용할 때 특히 두 단어가 다 해당 상황에 그럴듯 할 때 사용하는 것 같다. 앞의 문장에서는 안그래도 화장실을 자주가기 때문에 behind가 butt과도 약간의 연관성이 있는?! 그런 상황이라 웃음을 주려고 하는 말인듯 하다. pun 의 의미는 "말장난"

이 표현이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 아마 선생님들이 들어준 다른 예시가 약간은 충격적이라 그런 것 같다.

       - 휠체어 탄 아이를 놀리는 🐑🐑아치들과 휠체어탄 아이를 지키려는 형제와의 대화 

         "Hey, that's not good. He's in a wheel chair. Don't make fun of him."

         "That would be standing up for your brother in a wheel chair. no pun intended"

         § 기억할 표현으로는 "stand up for" 이 있다. 이것은 depend한다는 뜻. 또는 지지한다 의 뜻이 있다. 하지만 stand up 이기에 휠체어 탄 아이는 stand up 할 수 없다는 그런 충격적인 언어유희....

 

 

 

728x90

'ENGLISH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플리토로 돈도 벌고~ 영어공부도 하기!  (1) 2023.11.03
#5. cheat on  (2) 2023.11.02
#3. Lift you up, raise you up  (1) 2023.10.23
#2. To become an attractive speaker.  (0) 2023.10.06
#1. About MBTI as INFP (with chat G.P.T)  (0) 202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