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약사 아내 신약사의 약 공부💊7

통풍(gout) 통풍이란, 아플 통, 바람 풍자를 써서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질병이다. 통풍은 요산이 축적되어서 생기는 질병으로, 통풍 발작(gout attack, gout flare)이 발생하면, 이름처럼 매우 아프다고 한다. 요산이 더 많이 생성되어서 생기기도 하고, 요산의 배출이 잘 안되서 발생하기도 한다. 결석이 쌓이는 곳은 혈류의 속도가 낮아지는 관절부분, 특히 엄지발가락에 가장 먼저 발생한다. 그 외에도 무릎, 팔꿈치 등등 생길 수는 있으나, 엄지발가락에 통증이 느껴진다 하면 거의 통풍이다. 그리고 주로 밤에 통풍 발작이 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가끔 보면 젊은 남자인데도 결국 응급실을 갔다오거나 하기도 할 정도로 매우 아프니, 집에 소염진통제를 꼭 구비해두는게 좋다. 고요산혈증 요산이 .. 2024. 4. 20.
Arrhythmia (2) 약물 치료 class1 & 2 공부를 하면 계속 새롭고, 왜이렇게 어렵지? 했더니... Arrhythmia는 다른 질병들에 비해 약에 의한 조절보다 기계를 통한 치료에 좀 더 초점이 맞춰져 있는 듯 해서 약대에서도 조금은 얕게 배우고 넘어갔다(고 한다..) 그래서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봅시다잉~ 간단하게 기계로 인한 치료를 몇 가지 말하자면, 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 pacemaker가 있고 cardioversion이라고 해서 전기 충격으로 원래의 박동을 찾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defibrilation(재세동, 심정지 상태의 환자에게 shock을 주는 것)보다는 낮은 전류를 이용하고,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예약 후 진행되는 치료이다. Ventricular Fibrilation의 경우에는 ICD(implanted cardi.. 2024. 3. 29.
Quinine & Quinidine 둘 다 cinchona라는 나무의 껍질에서 추출한 물질로, 둘 모두 항말라리아 작용이 있고, Quinidine은 anti-arrhythmia 약 중 class 1a에 속하는 약이다. 전해져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1600년대 혹은 그 이전에 한 원주민이 고열에 시달리다가 길을 잃었고, 목이 너무 말라 물을 마셨는데, 쓴 맛이 나서 주변을 둘러보니 이 cinchona(quina-quina)라는 나무에 오염된 물이었고, 독에 걸렸겠구나 생각을 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열이 싹 나았다. 라는 이야기고, 그 이후에는 나무의 껍질을 말린 후 곱게 갈아서 술에 타서 마셨다고 한다(취하기 전에). 그렇게 강장 목적으로 단 물에 타서 tonic solution으로 만들어서 먹기도 했다고 한다. 그 이후 과학자들에 의해 추.. 2024. 3. 28.
chest pain chest pain이 있으면 .. 가장 먼저 심장을 걱정을 하는데, 어떤 경우에 chest pain이 있을 수 있는지, 어떤 경우에 어떤 병원을 가야할 지 알아보자. 사실은 가슴에 통증이 있다면 병원을 빨리가는게 정말 중요하다. 심장의 문제인 경우 심할경우는 이 가슴 통증이 심장마비의 증상일 수 있고, 이런 경우는 시간이 생명이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조치를 취하는 게 좋다. 그리고 폐에 염증이 있거나, 감염이 있는 경우도 위험하기 때문에 의심이 된다면 꼭 병원을 가야한다. 하지만 미국에 살고 있다보면, 병원을 빨리 라는게 쉽지가 않은 듯 하다. 미국이 아니더라도 증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좀 더 세세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원인으로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1. 심장문제 2. 폐 .. 2024. 3. 23.
Arrhythmia (1) 약사고시를 준비하면서 약물치료학이라는 가장 중요한 과목은 심장에 관련된 약부터 시작을 한다. 그래서 가장 열심히 불타오르며 준비를 시작하지만, 너무 어려워서 수박 겉핥기(scratch the surface)식으로 공부하고 넘어가고싶게 만드는 부분이 바로 이 부정맥 (Arrhythmia) 부분이다. 정말 영어 스펠링도 이렇게 어려울 일인가..! rhythm을 알면 사실 전혀 어려울 단어도 아닌데, 나는 계속 헷갈린다. 부정맥의 종류가 매우 많고, 이름은 같은 arrhythmia 이더라도 세부 종류에 따라 어떤 약을 사용하는지가 병을 악화시킬지 치료를 할지가 달라진다. 사실, 고혈압이나 고지혈증같은 경우에도 약물의 종류가 많아도, 표로 깔끔하게 정리가 가능한 반면, 부정맥 부분은 중구난방으로 쓰여있는 느낌이.. 2024. 3. 22.
#2. Ibuprofen "NSAIDs" NSAIDs :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 로 대표적인 소염제인 steroid는 아니지만 소염 효과를 내는 약을 뜻하는데, 아주 많은 약들이 여기에 들어간다. 이제는 소염 진통제로는 잘 안쓰이는 Aspirin, over the counter로 구매가능한, 처방으로도 많이 나오는 Ibuprofen, Naproxen, 처방을 받아야되는 몇몇 전문약들... Aspirin에서 시작되어 점차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되었고, 그래서 현재 Aspirin은 높은 용량을 써야 소염, 진통 효과를 보이는데, 그 용량에서는 부작용도 심하다보니, 1/5의 용량으로 혈전을 방지하는 약으로 쓰이고, 보통 aspirin을 사려고 하면, 거의 약국에는 높은 용량은 없.. 2024. 3. 15.